안녕하세요? 박대리 입니다. 오늘도 최신 시사 이슈에 대해 다뤄 보면서 관련된 영어 표현도 알아보겠습니다. 이슈와 관련 지어서 영어 표현을 익히면 잘 까먹지 않더라구요. 실제로 외국인과 대화할 때 해당 주제가 나온다면 당당하게 말해 봅시다.
오늘은 미얀마 쿠데타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최근의 사태를 통해 민주화의 상징과도 같았던 아웅산 수치, 그리고 미얀마가 나아가는 방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정치가로 변신한 활동가 아웅산 수치, 그리고 또 한번의 위기
최근 아웅산 수치의 정치 활동이 완전이 군부로부터 자유로웠다고 보기는 힘듭니다. 군부 50년 이후 장군들이 민주화를 진전시키는 방향으로 아웅산 수치를 구금에서 해제 했지만, 그들은 교모하게 아웅산 수치를 이용합니다. 수치가 선거에서 승리하더라도 대통령이 되지 못하게 하는 헌법조항이 그 예입니다. 선거에서 승리 후 결국 다시 아웅산 수치는 갇혔습니다. 지난 11월 수치의 정당이 선거에서 대승을 거두면서 상황이 급변했는데 군부에서는 전혀 예상하지 못한 결과로 보입니다.
- 관련 영어 표현
maneuver : 교묘하게 이용하다
constitutional provision : 헌법 조항
depose the goverment : 정부를 물러나게 하다. - bring down도 권력에서 끌어내리다 라는 의미가 있는 구동사입니다.
landslide : 산사태, (선거에서) 대승 - 재밌는 표현이죠? 산사태가 선거에서는 대승, 압도적인 득표를 의미합니다.
e.g. the election ended up in a landslide for her party. 선거는 그녀의 정당의 압도적인 승리로 끝났다.
미얀마 장군들이 10년 전 민주화로 방향을 전환할 때 그들은 아웅산 수치를 통제할 수 있다는 확신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지난 선거의 대패로 그 기대가 무너지면서 다시 쿠데타를 일으킨 것이죠. 그동안 공공연하게 아웅산 수치와 군부는 권력을 공유했지만 사이가 좋았던 것은 아닐 겁니다. 둘 사이에 어떤 암묵적인 합의가 지난 민주 정부를 가능하게 했다고 볼 수 있는데, 군부가 수치의 정부에 대한 통제력을 잃었다고 판단하면서 합의가 깨진 것 같습니다.
2. 아웅산 수치와 군부의 인연 그리고 최초의 민주 정부 구성
아웅산 수치는 잘 알려진 대로 1945년에 태어 났습니다. 그녀의 아버지는 영국과 싸우던 독립군 소속이었죠. 1948년 버마는 독립을 하게되고 버마의 군부는 내전으로부터 나라를 지키는 역할을 자처합니다. 결국 1962년 군부는 쿠데타를 일으키고 반 세기 동안 장기 집권을 시작합니다. 그 후 군부는 수많은 내전 집단과 마찰을 빚게 됩니다.
그 무렵 아웅산 수치는 영국에서 결혼을 하고 두 아이를 가진 엄마였습니다. 그녀는 1988년 어머니를 간호하기 위해 미얀마로 돌아오면서 조국의 정치적 격변을 목격합니다. 그 당시는 미얀마 내에서 군부에 대응하는 민주 세력이 등장하던 시기와도 같습니다. 그해 양곤에서의 연설을 통해 그녀는 민주화 운동을 대표하는 얼굴이 되었고, National League for Democracy를 창립을 돕게 됩니다. 결국 이듬해 그녀는 처음으로 국가보안법을 어긴 혐의로 체포되어 가택 연금을 당하게 됩니다. 그리고 무려 1995년까지 구금생활을 하게됩니다. 이후 수치는 반복적으로 구금을 당하게 됩니다. 2000년에 다시 체포되어 18개월 구금을 당하게 되고, 2003년부터 7년간 구금을 당하게 됩니다.
군부는 인권 탄압에 대한 명목으로 서방으로부터 엄청난 제재를 받게되는데요. 규제를 완화하고 중국에 대한 국가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군부는 민주화를 지원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변경합니다. 물론 그들의 권력을 유지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죠. 바로 2008년 개정된 헌법에서 군부가 3곳의 정부부처를 장악하고 의회 의석수 1/4을 확보할 수 있게 합니다. 이렇게 불완전하지만 결국 2015년 최초의 민주적 투표를 통해 민주정부가 출범하게 됩니다.
- 관련 영어 표현
stage a coup : 쿠데타를 일으키다
rebel : v.저항하다, n.반군
civil war : 내전
detention : 구금
human right : 인권
ease sanctions : 제재를 완화하다
constitution : 헌법
오늘은 아웅산 수치의 민주화 투사로서 성장과정 군부와의 인연 그리고 미얀마 최초의 민주 정부 출범까지의 흐름을 알아 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최근 미얀마 쿠데타까지 이어지는 정치적 흐름 그리고 관련된 표현을 알아보겠습니다 ~!
댓글 영역